2022학년도 포럼
제11회 한국대학IR협의회(KAIR) 온라인 포럼: IR기반 성과관리의 고도화(2022.08.30.)
- IR주제에 기반한 재정지원 사업의 방향과 과제 (이길재, 충북대 교육혁신본부장)
- 대학의 디지털 전환과 IR의 역할 및 방향 (장상현,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고등교육정보본부장)
- 대학의 성과관리센터 성공사례:
- (일반대 사례) 성과관리 조직의 정책 지원 기능 확대와 대안: 계명대 (정진화, 계명대 교육성과관리센터장)
- (일반대 사례) 본부 부처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실현가능한 데이터 기반 정책지원: 건국대 (박수미, 건국대 교육성과관리센터장)
- (전문대 사례) IR기반 대학성과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한 대학 정책 지원: 삼육보건대 (이선우, 삼육보건대 대학성과관리본부장)
- (전문대 사례) 데이터 기반 전문대 성과관리의 대학별 사례 및 공유 확산 사례: 수원여대 (박정근, 수원여자대 전 교무처장)
제12회 한국대학IR협의회(KAIR) 온라인 및 오프라인병행을 통한 참여형 포럼: 대학재정지원과 IR기반 성과관리(2023.02.03.)
- 대학재정지원과 IR, 그리고 성과관리 (김병주, 한국대학IR협의회장, 영남대 교수)
- 대학혁신과 IR, 그리고 KAIR (이길재, 충북대 교육혁신본부장)
- 대학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(장상현,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본부장)
- 대학IR센터 설립의 필요성과 과제 (장항배, 중앙대 데이터기반교육혁신센터장)
- 데이터기반교육혁신센터의 운영 및 교육혁신 지원사례: 중앙대 (이은정, 한림대 미래교육혁신원)
- 대학기관연구센터의 설립 및 운영 사례: 경기대 (유미선, 경기대 대학기관연구센터 팀장)
- 메타버스 대학운영 사례 및 메타역량지수: 삼육보건대 (박주희, 삼육보건대 혁신기획처장)
- 학과 교육역량 성과관리 센터: 대구대 (김민희, 대구대 교육혁신원장)
- 교육성과관리센터 운영 사례: 학생역량관리를 중심으로: 동의대 (김보성, 동의대 교육성과관리센터장)
- 교육성과관리센터 운영 사례: 단국대 (전은화, 단국대 교육성과평가센터장)